1.
Elastic Beanstalk 를 사용하면 웹서버를 편하게 만들 수 있다. 프론트, 백엔드 다 된다. 임시 도메인도 생성해준다. (단, tls 연동은 별도)
2.
외부 서비스용으로 환경을 만들고 도메인 접속해 보면 안 되는 경우가 있다. 접속 안 되는 경우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흔하게 할 수 있는 실수가 환경 설정 세팅하다가 퍼블릭 ip 항목에 체크를 안 했을 수 있다.
3.
환경 생성하다가 세 번째 페이지에서 나오는데, default가 체크 안 되어 있고 크기도 작아서 체크 안 하고 넘어가면 도메인은 생성되도 외부 접근이 안 된다. 이것 저것 정신없이 세팅하다 보면 놓치기 쉬운 부분이다.
4.
네트워킹, 데이터베이스 및 태그 설정 > 인스턴스 설정 > 퍼블릭 IP 주소 > 활성화됨
5.
저 부분에 체크되어 있는데 접속이 안 된다? EC2 보안그룹의 인바운드 규칙에 접근 권한이 있는지 체크해 보자.
6.
Elastic Beanstalk 환경을 생성하면 그에 상응하는 EC2 서버를 생성한다. 보안그룹 > 인바운드 규칙에 접근 권한이 있는지 체크해보고 없다면 추가해 준다.